본문 바로가기

마케팅/공부장

'Google Ads의 이해 (3) 디스플레이 광고' 요약

목차

'Google Ads의 이해 (1) 구글 애즈 리마케팅 / 전환 태그' 요약

'Google Ads의 이해 (2) 검색광고' 요약'

'Google Ads의 이해 (3) 디스플레이 광고' 요약

'Google Ads의 이해 (4) 유튜브 광고' 요약

'Google Ads의 이해 (5) App 광고' 요약

'Google Ads의 이해 (6) 쇼핑 광고' 요약


디스플레이 광고 Overview

 

디스플레이 광고란?

온라인 상의 광고지면을 통해 노출되는 배너 형태의 광고 유형, 실시간 입찰 방식과 사전예약방식 등이 존재

예시

 

 

실제 통합 마케팅 캠페인 내 디스플레이 광고

마케팅 캠페인 전반을 놓고 봤을 때 디스플레이 광고는 노출 및 방문 유도를 위한 광고 영상 캠페인을 진행한다면 , 영상을 통해 1차적이 노출이 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1차적인 노출부터 전황을 위한 리마케팅까지 디스플레이 캠페인의 역할이 큼

 

 

구글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GDN)

구글 디스플레이 광고를 통해서 전 세계 인터넷 유저의 90%에게 웹사이트, 동영상, 앱 등 지면을 통해 광고를 도달시킬 수 있음.

 

 

디스플레이 광고의 효과

1. 브랜드 인지도 상승

2. 신규 고객 유입

3. 방문 고객의 고려도 증가: 리마케팅 광고를 통해서 기존 방문 고객을 리타게팅 할 수 있음

4. 제품에 대한 검색 유도

 

GDN 광고의 장점 - 도달률

구글 디스플레이 광고를 통해서 전 세계 인터넷 유저의 90%, 국내에서도 대부분의 주요 온라인 상의 지면에 광고 송출 가능

 

GDN 광고의 장점 - 고도화된 타기팅

GDN에는 인구통계 타기팅뿐만 아니라 관심사, 구매의도, 문맥, 주제 등 다양한 타기팅을 활용하여 잠재고객을 확보할 수 있음.

 

예시) 키워드 / 문맥 타기팅

예시) 주제 타기팅

GDN 광고의 장점 - 프리미엄 지면

페이지의 상위나 측면 등 효과적인 프리미엄 지면에 노출 가능

GDN 광고의 장점 - 다양한 소재

 

 

 

GDN 광고 설정 프로세스

 

GDN 광고는 광모 목표별 캠페인을 구성하고 상품별, 타기팅 별로 광고그룹을 구성하는 것을 추천.

광고 소재는 다양한 사이즈와 형식의 광고를 운영하면서 최적화.

 

 

 

 

GDN 캠페인 운영 프로세스

GDN 캠페인의 경우에는 신규 잠재고객 캠페인부터 리마케팅, 유사 잠재고객 대상 캠페인까지 캠페인 진행과정에서 잠재고객 모수를 잘 활용하면 캠페인을 고도화시켜나가기 매우 적합한 캠페인 유형.

 

신규 캠페인을 운영하면서 타깃과 소재에 대한 A/B테스트를 통해 효율이 높은 잠재고객과 소재를 찾아내고 그것을 바탕으로 최적화 작업을 통해 유사 잠재고객까지 캠페인 볼륨을 키워나가는 과정이 디스플레이 캠페인 운영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음.

 

 

 

GDN 광고 캠페인 구조 예시

 

 

구매목표 예시

 

 

 

유입목표 예시

 

 

GDN 사용자 기반 타기팅 종류

 

GDN에는 사용자의 행동 중심으로 타기팅을 할 수 있는 사용자 기반 타기팅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광고 운영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

 

 

GDN 광고 입찰 전략

 

전환을 위한 입찰방식은 머신러닝에 의해 전환 최적화가 되는 입찰전략. 최소 1-2주 정도의 학습 기간이 필요하고 전환 트래킹 활성화 필수.

 

 

디스플레이 광고 만들기

 

GDN 캠페인 구조

구조와 예시

디스플레이 캠페인은 캠페인> 광고그룹> 광고 소재단으로 구성.

캠페인은 목적이나 큰 카테고리별로, 광고그룹은 상품별이나 타기팅 별로 나누는 것이 효과적.

 

 

GDN 캠페인 세팅 항목

 

 

디스플레이 광고 입찰전략

웹사이트로의 방문을 늘리는 것이 목표라면 클릭 기반의 입찰전략을 선택.

단 클릭 수 최대화를 선택했을 시에는 머신러닝에 의한 자동 입찰을 진행하기 때문에 캠페인 세팅 변경에 유의해야 함.

 

전환을 늘리는 것이 목표라면 전환 기반의 입찰전략을 선택.

전환 기반의 입찰 전략들은 모두 머신러닝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최적화가 이루어지는 전략으로 캠페인 설정 변경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

 

 

 

디스플레이 광고의 유형

 

구글 디스플레이 광고의 유형

 

이미지 광고: 이미지를 제작, 업로드해서 광고 배너로 사용하는 광고

 

 

이미지 광고 소재 준비 시 유의사항

1. 애니메이션 길이: 30초 이내, 반복도 가능하나 30초 후 정지

2. 명확성 및 관련성: 랜딩페이지와의 관련성 및 가독성이 있고, 제품명이나 회사 로고 등 식별 정보 표시

3. 전문성 수준: 동작하지 않는 기능 (클릭 창, 검색창 등)을 담지 않고 번쩍이는 섬광 효과 등이 없을 것

 

이미지 광고 소재 사이즈

 

반응형 광고

 

반응형 광고는 미리 세팅해둔 텍스트와 로고, 이미지를 조합하여 지면 사이즈에 맞게 배치하여 자동으로 배너를 생성하는 광고

광고 유형별 효율

반응형 광고가 주로 비용 대비 클릭 및 전환 효율이 좋은 편으로 많이 광고주가 사용.

브랜드 이미지 등을 위해 사용하는 이미지 광고와 함께 사용하는 것을 권장.

 

디스플레이 광고 운영하기 (1)

 

디스플레이 캠페인 운영 전략

 

구글 디스플레이 광고의 핵심 요소

 

구글 디스플레이 광고 입찰 전략

구글 디스플레이 광고 타기팅

콘텐츠 기반 타기팅 와 사용자 기반 타기팅을 동시에 적용하면 교집합으로 타기팅 되므로 모수 크기를 고려하여 타기팅 적용 필요.

 

콘탠츠 기반 타기팅

 

키워드 / 문맥 타기팅

키워드 타기팅은 관련 키워 등 와 문맥 타기팅.

이때 키워드는 카테고리별 그룹으로 묶는 것이 광고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

 

키워드 / 문맥 타기팅의 특징

키워드/문맥 타기팅의 경우는 사용자의 관심사 또는 광고가 노출될 지면과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CTR 및 전환효율은 다른 타기팅 대비 높은 편이나 도달 및 노출 범위가 상대적으로 좁은 특징이 있어 높은 광고 예산일 때는 광고비 소진이 어려울 수 있음.

 

주제 타기팅

주제 타기팅은 특정 주제에 부합하는 웹페이지, 앱, 동영상에 광고를 노출시키기 위한 타기팅

주제 타기팅의 경우는 특정 업종에 적합한 광고를 하기 알맞은 타기팅으로 비즈니스에 부합하는 주제를 잘 선택하여 광고를 집행했을 때 우수한 성과를 얻을 수 있는 타기팅 방식이나 도달 모수 이슈가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

 

게재 위치 타기팅

게재 위치 타기팅의 경우는 특정 웹사이트나 앱, 동영상 등을 선택하여 타기팅 할 수 있으므로 콘텐츠 기반 타기팅 중에서는 가장 광고 소재와 게재될 위치의 콘텐츠 매칭도를 높일 수 있는 타기팅이지만 게재 위치 제한으로 인한 도달 이슈가 존재할 수 있음.

 

사용자 기반 타기팅

사용자 기반 타기팅은 콘텐츠 기반 타기팅과 달리 사용자의 행동 중심의 타기팅으로 관심이 어디에 있나? / 무엇을 구매하려 하나? / 어떤 행동을 했던 사용자인가? 와 같은 사용자의 행동을 바탕으로 타기팅 하는 방식.

 

  • 관심분야 타기팅

관심분야 타기팅의 경우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를 타기팅 하는 방법으로 GDN에서 가장 흔한 타기팅 방식 중 하나.

 

맞춤 관심분야 타기팅

맞춤 관심분야 타기팅의 경우 구글애즈 상 설정 가능한 관심사 외에 직접 키워드 및 url을 입력하여 그와 관련된 주제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를  타기팅 하는 커스텀 타기팅 기능

 

 

  • 구매의도 타기팅

구매의도 타기팅의 경우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검색을 했던 카테고리를 타기팅 하는 방식으로 GDN 광고에서는 고려 & 전환 목표의 광고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타기팅

 

맞춤 의도 타기팅

맞춤 의도 타기팅의 경우 구글 애즈 상 선택 가능한 구매의도 외에 직접 키워드 및 url을 입력하여 그와 관련된 주제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를 타기팅 하는 커스텀 타기팅 기능.

 

 

관심분야 타기팅 VS 구매의도 타기팅

 

  • 리마케팅 / 유사 잠재고객 타기팅

 

리마케팅 및 유사 잠재고객 타기팅의 경우 기존 사용자의 비즈니스와 상호작용했던 사용자를 타기팅 하기 위한 타기팅 기법으로 GDN 광에서는 리마케팅 캠페인에 많이 활용.

 

GDN 광고 리마케팅 / 유사 잠재고객 타기팅

리마케팅 및 유사 잠재고객 타기팅은 리마케팅 태그 때 다뤘듯 잠재고객 만들기를 통해 활용. 유사 잠재고객은 유효한 리마케팅 목록을 바탕으로 자동 생성됨.

 

구글 디스플레이 광고 소재

성공적인 구글 디스플레이 캠페인을 위해서는 광고 소재를 최대한 다양하게 활용하여 Test and Learn 하는 것이 중요.

 

 

 

디스플레이 광고 운영하기 (2)

 

GDN 캠페인 입찰가 조정하기 1) 단일 그룹 수정 시

연필모양 버튼 클릭하여 입찰가 직접 세팅 가능

GDN 캠페인 입찰가 조정하기 2) 여러 그룹 수정 시

 

광고그룹 체크 후 수정 -> 입찰가 변경을 통해서도 입찰가 변경 가능

여러 그룹을 동시에 변경할 때 유용한 방법으로 직접 입찰가 입력 외 비율로 증감 가능.

 

GDN 캠페인 입찰가 조정 Tip

 

캠페인을 최적화할 때 입찰가 조정은 큰 변동 시 머신러닝에 영향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한 번에 15% 이하 폭으로 조정! (특히 스마트 비딩 전력을 사용하고 있다면 주의!)

광고비 소진을 최적화할 때는 10% 정도에서 조금씩 추이를 보면서 조정!

 

GDN 캠페인 운영 TIP

 

1. GDN 캠페인의 타기팅은 넓게 시작해 효율에 따라 좁혀가는 것을 추천

2. 입찰전략은 전환과 무관한 입찰전략으로 시작해 전환 중심의 입찰 전략으로 이동해 갈 것.

3. 소재는 많고 다양하게 시작해 효율 기반으로 선별하여 최적화할 것.

4. 광고 그룹을 구성할 때는 상품별, 타기팅 별로 구성하는 것을 추천 ex) 구매의도 그룹, 관심사 그룹

5. 입찰가나 예산을 조정할 때에는 머신러닝을 고려하여 10-15% 정도의 범주 이내에서 변경 (너무 큰 폭의 변경이 있을 시 학습 리셋될 수 있음)

6. 캠페인을 운영하다가 제외하고 싶은 게재 위치가 있다면 게재 위치 제외 리스트를 통해 정리 가능 (해당 광고주의 정치적 이슈나 키즈 지면 등을 제외하는 데에 많이 사용)

7. 키워드나 광고 소재의 경우도 운영하면서 비효율 소재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최적화 진행

 


관련 글 더 보기

'Google Ads의 이해 (1) 구글 애즈 리마케팅 / 전환 태그' 요약

'Google Ads의 이해 (2) 검색광고' 요약'

'Google Ads의 이해 (3) 디스플레이 광고' 요약

'Google Ads의 이해 (4) 유튜브 광고' 요약

'Google Ads의 이해 (5) App 광고' 요약

'Google Ads의 이해 (6) 쇼핑 광고' 요약